광고

'물총새를 노리는 길냥이'

판교생태원 주변 숲에는 다양한 새와 길냥이 집 2채가 있다.

이영자 기자 | 기사입력 2020/11/20 [00:47]

'물총새를 노리는 길냥이'

판교생태원 주변 숲에는 다양한 새와 길냥이 집 2채가 있다.

이영자 기자 | 입력 : 2020/11/20 [00:47]

 

  ▲ 숨어드는 길냥이와 이를 눈치 못챈 물총새.                                                    © 포스트24

 

11월 17일(화)에 판교생태원 주변 숲에서 새 모니터링을 하다 만난 물총새 한마리가 바윗돌 위에 앉아 있고, 이 물총새를 노리고 바위 뒤로 살금살금 다가오는 길냥이를 만났다.

 

  ▲바윗돌위에 노랑할미새와 나뭇가지위에 앉아 있는 물총새가 서로 마주 보고 있다.     © 포스트24

 

물총새는 자신에게 다가오는 길냥이를 외면하고 제자리에 멈춘 채 먼 발치에서 노랑할미새와 자리 다툼을 하고 있는 물총새를 한없이 바라보고 있다.  

 

잠시 후 고양이의 숨어든 모습을 눈치라도 챈걸까? 고개를 돌리더니 몸 전체를 돌려 고양이와 눈을 마주 바라보다가 이내 물총새는 고양이를 뒤로 한 채 다시 멀리있는 짝꿍 물총새 거동을 주시하기 시작한다.

 

바위 뒤어 숨어 물총새를 바라 보는 길냥이, 눈은 굶주린 눈빛이라기 보다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물총새의 자태를 바라보고 있는 것처럼 보이나, 혹 물총새의 빈틈을 노리는 건 아닌지?

 

 ▲ 바위뒤에 숨어있는 고양이와 눈이 마주친 물총새.                                             © 포스트24


이곳 생태원 주변 숲에는 사람의 애정어린 손길로 지어진 길냥이 집 두 채가 있었으며 이곳을 기거하는 고양이는 모두 4마리 정도인 것으로 추정돼 보였다. 지난번 모니터링때는 한 채 였으나 한 채가 더 늘어 두 채가 되었다.

 

약육강식(弱肉强食), 적자생존(適者生存)이란 말이 있다. 즉, 약육강식(弱肉强食)은 약한자가 강한자에게 잡아 먹힌다는 뜻으로 힘이 있는 자가 약한 자를 제물로 삼아 잡아먹는 정글의 법칙이다. 이에 반해 적자생존은 환경에 적응하는 생물만이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것들은 도태된다는 현상을 말하는것으로 이 고사성어는 우리가 흔히 아는 말이다.

물총새냐! 고양이냐! 과연 우리는 어느 동물을 더 보호 해야 할까라는 일반적인 이런 난제에 부딪히게 된다. 새를 애호하는자들의 입장과 고양이를 애호하는 자들의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논쟁의 대상이 된다.

 

현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 이런 상황의 문제를 어찌 해결해야 하는지 정확한 답은 각자의 입장에서 다른 해법이 나오기 때문에 해결책이 없다기 보다 논쟁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우리가 정확히 알아야 할 점은 자연 생태계는 반드시 스스로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자연에 사는 길냥이와 새가 사람들이 매번 먹이를 주며 길들여 진다면 길들여진 동물은 야생성을 잃게된다. 이들이 자연에서 살아가야 하는 야생의 능력을 인간이 빼앗은 것과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이다.

 

자연은 자연 스러웠을 때 더 아름답지 않을까?

 

  ▲ 누군가 지어준 길냥이 집 1.                                                                          © 포스트24



 ▲ 누군가 지어준 길냥이 집 2.                                                                        © 포스트24

 


 【글, 사진= 이영자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인기기사 목록
 
광고
광고
광고
환경 많이 본 기사
광고
광고